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인천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 있고,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사전에 합의되지 않은 개인 또는 기관에서 관련 콘텐츠의 내용을
녹화, 녹음, 캡처하거나 출처를 표기하지 않은 재배포 및 무단 공유,
수정 게시 등은 불가함을 안내드립니다.

해당 내용에 동의하시면 콘텐츠 재생이 가능합니다.

사회기술훈련콘텐츠

대화의 기술 기본적인 대화의 기술,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편

대화는 배울 수 있는 기술이다.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우거나 타이핑을 배우는 것과 같다.
만약 당신이 연습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삶의 질을
급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브라이언 트레이시 -

오늘의 목표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상대에게 정확히 전달하거나 표현함으로써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든 기술사회기술이라 합니다.
이런 사회기술을 익히려면 자신의 감정과 생각, 욕구 등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생각, 욕구에 반응하는 방법을 익히는
“사회기술훈련”이 필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기본적인 대화의 기술”과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기술을 배워보겠습니다.

학습을 시작하기 전, 워크북 6~9p에 있는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워크북 활동지 작성이 끝났으면
다음 영상을 시청하세요.

대화가 필요해

도대체 어떻게 말을 꺼내고 이어가야 할까?

“대화가 필요해“ 영상과 관련하여 워크북
10p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대화의 기술에서는 비언어적인 요소언어적 요소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학습을 통해 대화할 때 자신이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지,
자신 있는 부분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워크북 활동지 작성이 끝났으면
다음 퀴즈를 풀어보세요.

잠깐, 퀴즈!

Q. 다음 중 대화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 1. 목소리와 억양

    대화 시 목소리의 크기와 억양이
    적절하면 상대에게 안정감과
    신뢰감을 줄 수 있습니다.

  • 2. 옷차림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는 깔끔하고
    단정한 옷차림이 중요하지만, 대화의
    기본 요소는 아닙니다.

  • 3. 상황에 맞는 대화

    말하는 내용이 상황에 적절해야
    매끄러운 대화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대화의 기술

잠깐, 퀴즈!

Q. 다음 중 가장 대화하기 좋은 상대는 누구일까요?

정답입니다
  • 1. 바쁘게 작업 중인 동료

    상대가 바쁘면 대화에 집중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여유가 있어보일 때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통화 중인 지인

    상대가 다른 사람과 대화 중이면
    나와의 대화에 집중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여유가 있어보일 때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커피를 마시며 휴식 중인 동료

    상대가 대화할 수 있는
    여유가 있어 보일 때 대화를
    시작합니다.

이전 다음

대화를 유지하는 기술

함께 대화해 볼까요?

대화의 기술, 실전에서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워크북 13p를 참고하여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화의 기술'을 연습해보세요.

잠깐, 퀴즈!

Q. 그림 속 상황에 맞는 질문과 대답을 보기에서 골라 맞는 것끼리 선택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봬서
    기억하실지 모르겠네요.
    저는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반가운 마음에
    인사드립니다.
  • 다음 일정이 있어서
    가보려고요.
    오늘 만나서 반가웠습니다.
    앞으로 자주 뵈면
    좋겠습니다.
  • 저번주 주말에
    날씨가 좋았는데
    무엇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셨어요?
정답입니다
  • 대화를 시작할 때에는 날씨, 안부 등을
    물으며 부담없는 내용으로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화 종결의 말과 함께 대화가
    즐거웠다는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면 좋습니다.

  • 대화를 하다가 어색한 침묵이 흐를 경우
    새로운 화제를 꺼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본적인 대화의 기술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까지 배운 내용들을
워크북 14~15p를 통해 정리해보세요.
정리가 끝났다면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대화의 기술'을 연습해보고
워크북 16~19p의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위해서는 부탁하기와 함께
적절한 거절이 중요합니다.
자기표현과 자기주장을 잘하기 위해 내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법
에 대해 알아볼까요?




학습을 시작하기 전, 워크북 21~22p에 있는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부탁의 기술

잠깐, 퀴즈!

Q. 친구 길동이에게 돌려줘야 할 물건이 있는 주인공.
그런데 하필 지금 중요한 일이 생겨 바로 이동해야 할 상황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또 다른 친구 윤호에게 부탁을 하려고 하는데요.
어떻게 부탁해야 할까요?



정답입니다
  • 1. 상대방에게 부탁을 할 때에는 불쾌하지 않도록 의견을 잘 전달하고, 부탁할 부분을 간결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또한 부탁을 들어줄 경우 자신의 기분이 어떨지 이야기하면 좋습니다.
  • 2. 부탁을 할 때에는 상대방의 일정을 최대한 배려하여 부탁해야 합니다. 또한 공손한 태도와 상대가 불쾌하지 않도록
    의견을 잘 전달해야 합니다.
  • 3. 부탁을 할 때에는 미리 시간 여유를 갖고 부탁해야 합니다. 또한 부탁하는 이유에 대해 간결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공손하고 배려있는 태도로 부탁 해야합니다.



'부탁의 기술' 영상과 관련하여 워크북
23~24p에 있는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거절의 기술

잠깐, 퀴즈!

Q. 친구에게 박람회를 가자는 부탁을 받은 주인공. 하지만 박람회가 있는 날
병원을 예약해 둔 상태라 친구의 부탁을 거절해야 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표현은 무엇일까요?



정답입니다
  • 1. 내가 해줄 수 없는 부탁일 경우 상대방을 존중하며 거절의 의사를 표현해야 하고, 거절했더라도 어느 정도까지
    부탁을 들어줄 수 있는 상황이라면 타협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내가 해줄 수 없는 부탁이므로 상대방을 존중하며 거절의 의사를 표현합니다.
  • 3. 거절을 할 때에는 상대방을 존중하며 말해야 하고, 내가 도울 수 있는 부분이 어디까지인지 말해주면 좋습니다.

'거절의 기술' 영상과 관련하여 워크북 25p에 있는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활동지 작성이 끝났으면 워크북 26~27p를 참고하여
'부탁하기'와 '거절하기'의 기술을 연습해보세요.

부탁의 방법과 거절의 방법

각각의 이미지를 클릭해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기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까지 배운 내용들을 워크북 28~29p를 통해
정리해보세요.

정리가 끝났다면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기술을 연습해보고 워크북
32~33p의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학습 전과 후 변화된 점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워크북 34~40p 활동지를
작성해보세요.

여러분은 '기본적인 대화의 기술'과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기술을 습득하셨습니다.

사례관리 선생님과 함께 학습을 통해 배운
내용과 스스로 달라진 점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수고하셨습니다.

부탁하기의 기술 알아보기

1. 미리 시간 여유를 갖고 부탁합니다.

: 되도록 여유 시간을 충분히 잡아 상대방의 일정에 최대한 배려하여 부탁하세요.

2. 부탁하는 이유에 대해 말합니다.

3. 함께 쓰면 좋은 말은 무엇이 있을까요?

: 예) “실례지만”, “만약...을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등

4. 부탁을 들어줄 경우 자신의 기분이 어떨지 이야기합니다.

부탁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방법)

1. 부탁을 들어줄 만한 상대를 찾아봅니다,

2. 정중하게 부탁할 사항을 말합니다.

3. 부탁을 들어줄 경우 “고맙습니다.” 꼭 말합니다.

4. 부탁을 들어주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이해하는 마음을 갖습니다.

: 부탁을 들어주지 않을 경우라도 절대 화를 내지 말고 상대방의 거절을 존중합니다.

5. 상대가 요청을 들어줄 수 없을 경우 정중하게 “네. 알겠습니다.”라고 말합니다.

6. 거절한다고 해서 당신을 전체로 거부하는 것은 아닙니다.

거절하는 방법은? (거절하기)

1. 내가 해줄 수 있는 일인지 생각해봅니다.

: 상대의 부탁을 내가 해줄 수 있는 일인지 생각해봅니다. 과한 부탁은 아닌지, 내가 느끼는
부담감은 어느 정도인지 생각해봅니다. 내가 해줄 수 없는 과한 부탁일 경우 거절해야 합니다.
상대의 부탁은 반드시 들어줘야 하는 것이 아니며 내 상황에 따라 결정하는 것입니다.

: 거절은 성급하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2. 거절을 표현합니다.

: 거절은 나 자신과 상대를 동등하게 존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나 자신을 위해서 내가 도울 수 있는 부분이 어디까지인지 말해줍니다.
예시) “죄송합니다. 그 부분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3. 타협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이야기합니다.

: 거절했더라도 어느 정도까지 부탁을 들어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면,
타협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합니다.